본문 바로가기
한의학고전DB
검색 열기
검색
Advanced
메뉴 열기
열람
Guide
Sign in
태산심법
胎産心法
>
上
목차보기
上
中
下
전체접기
胎産心法 卷之上
top
본문 설정
원문
한국어
교감기
역자주
글씨크기
Increase font size
Decrease font size
胎産心法 卷之上
태산심법 상권
胎産心法序
태산심법 서문
自序
저자 염순새의 서문
脈法
맥법
1
脈訣歌
맥결가
2
金匱解方 附本條
금궤의 해석. 처방에 본문의 조문을 덧붙임
3
逐月養胎
幷愼擇醫藥論
임신 달에 따른 양태에 대한 분별과 의사와 복용 약물을 신중히 선택할 것에 대한 의론
4
受胎試驗法附方
임신을 시험하는 방법과 관련 처방
5
試男女胎法
남태와 여태를 시험하는 방법
6
三禁
치료의 세가지 금기
7
敎養宜忌論
태교와 양태를 위해 해야할 것과 금기할 것에 대한 의론
8
飮食七情禁忌論
음식과 칠정의 금기에 대한 의론
9
妊娠禁忌歌
임신중의 금기에 관한 노래
10
種子補益受胎壽子論
임신을 위해 보익하여 수태함으로써 자식이 장수하게 하는 것에 대한 의론
11
胎動安胎論
태동을 안정시키는 것에 대한 의론
12
惡阻論
오조에 대한 의론
13
胞漏幷小産論
포루(임신 중의 하혈)와 소산(유산 및 조산)에 대한 의론
14
諸痛論附孕癰
여러가지 통증에 대한 의론. 임신중의 장옹(잉옹)에 관한 것을 덧붙임
15
胎逆上逼脹滿子懸論
태기가 거슬러 올라가 핍박하여 거득하게 되는 자현증에 대한 의론
16
諸血證論
여러가지 혈증에 대한 의론
17
子腫ㆍ子氣ㆍ子滿論子滿證, 卽俗呼胎水證也.
자종ㆍ자기ㆍ자만에 대한 의론. 자만증은 민간에서 태수증이라 함(자종과 자기는 임신 부종의 범주이며, 자만증은 양수과다의 범주임)
18
子煩幷五心煩熱及煩躁口乾論
자번과 오심번열 및 번조하면서 입이 건조한 것에 대한 의론
19
子淋論
자림에 대한 의론
20
轉胞淋閉論
전포증으로 소변이 조금씩 방울져 나오거나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의론
21
遺尿論
유뇨에 대한 의론
22
子嗽論
자수에 대한 의론
23
喘急論
천급에 대한 의론
24
泄瀉論
설사에 대한 의론
25
霍亂論
곽란에 대한 의론
26
中惡ㆍ中暑ㆍ中濕ㆍ中風論
중오ㆍ중서ㆍ중습ㆍ중풍에 대한 의론
27
子癎論又名風痙, 一名子冒, 亦名類中風. 附因破傷失血ㆍ吐血ㆍ衄血致類中風
자간에 대한 의론. 다른 병명은 풍경이며, 자모라고도 함. 또한 류중풍이라는 병명도 있음. 파상에 의한 실혈, 토혈, 뉵혈이 류중풍을 유발하는 것에 대해 덧붙임.
28
痢論
이질에 대한 의론
29
瘧論
학질에 대한 의론
30
傷寒溫熱時疫論
상한, 온열, 시역에 대한 의론
31
譫語論
섬어에 대한 의론
32
傷風論
상풍에 대한 의론
33
傷食論
상식에 대한 의론
34
臟躁悲傷論
장조증으로 슬픔에 빠진 것에 대한 의론
35
大便燥論
대변이 메마른 것에 대한 의론
36
子瘖論
자음에 대한 의론
37
腹內兒哭鐘鳴論
뱃속에서 태아가 울거나 종소리를 내는 것에 대한 의론
38
胎不長養過期不産幷枯胎論
태아가 성장하지 않는 것, 산달이 지나도 분만하지 않는 것과 태아가 고사된 것에 대한 의론
39
鬼胎論又名夜叉胎
귀태에 대한 의론. 다른 명칭은 야교태이다.
40
腸覃似孕幷蓄血似孕論
장담증으로 임신한 듯 한 것과 축혈증으로 임신한 듯한 것에 대한 의론
41
孕婦出痘論
임신부에 두진이 생긴 것에 대한 의론
42
妊娠麻疹論
임신중의 마진에 대한 의론
43
사용자 기능 열기
검색
서적정보
내용보기
서적정보
내용접기
저편자
: 염순새 (閻純璽)
간행시기
: 1730
번역자
: 김동일, 이태균
자세히 보기
오류신고
내용보기
오류신고
내용접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저장
오류신고
공유
인용표기
인용표기
닫기
Vancouver Style
APA Style
Chicago Style
NLM Style
복사
SNS
닫기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구글 Plus 공유
URL
복사
Frame
열기
원문
한국어
Width
:
Height
:
코드생성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