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本草類函要領
⦁ 本草類函要領小序
⦁ 通治部
∘ 諸風門
∘ 傷寒門
∘ 痼冷門
∘ 暑病門
∘ 濕病門
∘ 火熱門
∘ 諸氣門
∘ 失血門
∘ 痰飮門
∘ 虛損門 互見保養諸方
∘ 酒食傷門 互見中諸毒門, 諸食毒
∘ 霍亂門
∘ 咳嗽門
∘ 哮喘門
∘ 嘔吐門
∘ 噎膈門
∘ 呑酸嘈雜門
∘ 呃逆門
∘ 消渴門 互見諸熱門, 煩燥門
∘ 積聚門
∘ 浮腫門
∘ 脹滿門 互見腹痛門
∘ 黃疸門
∘ 瘧疾門
∘ 痢疾門
∘ 泄瀉門 互見痢疾門
∘ 諸汗門
∘ 睡寐門
∘ 怔忡驚悸門
∘ 諸蟲門
∘ 勞瘵門
∘ 溫疫門
∘ 癲癎門
∘ 邪祟門
∘ 奇疾門
∘ 救急門 互見邪祟門
⦁ 上部
∘ 頭病門 附頭項
∘ 面病門
∘ 眼疾門
∘ 耳病門
∘ 鼻病門
∘ 口舌門
∘ 牙齒門
∘ 咽喉門
∘ 聲音門
∘ 鬢髮門 眉毛附
⦁ 中部
∘ 心痛門
∘ 胸脇門 背病腋氣附
∘ 腹痛門 互見心痛門, 胸脇門
∘ 腰痛門
∘ 手臂門 互見痲痺門
⦁ 下部
∘ 足脛門 互見腰痛門, 手臂門
∘ 前陰門
∘ 㿗疝門
∘ 諸淋門
∘ 赤白濁門 互見遺精也
∘ 遺精門
∘ 小便門
∘ 大便門
∘ 腸風下血門 互見痔疾門, 失血門
∘ 痔疾門
∘ 脫肛門
⦁ 婦科
∘ 經血門
∘ 崩漏門
∘ 姙娠門
∘ 臨産門
∘ 産後門
∘ 乳病門
∘ 陰病門
⦁ 兒科
∘ 初生門
∘ 驚癎門
∘ 諸病門
∘ 諸疳門
∘ 諸瘡門
∘ 痘疹門
⦁ 外科
∘ 癰疽瘡瘍門
∘ 疹疿癍癬門
∘ 瘰癧癭瘤門 結核疣痣附
< 간략해제 >
현재덕은 본초유함요령에서 동의보감의 의학이론을 자신의 언어로 풀어냄으로써 전통 정규의학을 연구한 내의로서의 실력을 잘 보여준다. 본초유함요령의 전반적인 윤곽은 본초강목을 참고하였고, 중분류의 차서는 동의보감의 분류를 차용하고 있다. 또 내용은 동의보감의 의론 부분을 완전히 소화하여 자기만의 언어로 완벽하게 요약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18~19세기 동의보감을 요약하여 만든 대부분의 의서들이 부분적인 발췌에 의존한 것과는 다른 면모이다. 한편, 본초유함에서는 단방과 간이방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민간의학적 색채를 농후하게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현재덕의 의서가 가지는 이러한 양면성을 통해 17세기 전후 중국과 한국의 대표적 의서라고 할 수 있는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이 19세기 한국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어떻게 결합되어 가는가를 살펴볼 수 있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