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諺解救急方 卷上
⦁ 中風
⦁ 破傷風
⦁ 中寒
⦁ 陰陽易
⦁ 氣厥
⦁ 痰厥
⦁ 食厥
⦁ 尸厥
⦁ 卒死
⦁ 中惡
⦁ 鬼魘
⦁ 邪祟
⦁ 癲狂
⦁ 上氣
⦁ 頭痛
⦁ 心痛
⦁ 腹痛
⦁ 疝痛
⦁ 霍亂
⦁ 喉閉
⦁ 舌腫
⦁ 諸骨鯁
⦁ 誤呑金鐵
⦁ 誤呑諸虫
⦁ 飛絲入口眼
⦁ 眯目
⦁ 失音
⦁ 咳逆
⦁ 吐血
⦁ 衄血
⦁ 九竅出血
⦁ 眼睛突出
⦁ 失欠脫頷
⦁ 大便不通
⦁ 小便不通
⦁ 入井塚卒死
⦁ 自縊死
⦁ 溺水死
⦁ 凍死
⦁ 餓死
⦁ 斷穀不飢藥
▶ 諺解救急方 卷下
⦁ 諸獸傷
⦁ 諸蟲傷
⦁ 諸蟲入七竅
⦁ 金瘡傷
⦁ 打撲傷
⦁ 墮壓傷
⦁ 筋斷骨折傷
⦁ 諸刺傷
⦁ 湯火傷
⦁ 飮食毒
⦁ 諸藥毒
⦁ 諸肉毒
⦁ 諸魚毒
⦁ 諸果毒
⦁ 諸菜毒
⦁ 蠱毒
⦁ 疫癘
⦁ 大頭瘟
⦁ 癰疽
⦁ 大風瘡
⦁ 天疱瘡
⦁ 陰蝕瘡
⦁ 煙薰毒
⦁ 難產
⦁ 胞衣不下
⦁ 急慢驚風
⦁ 痘瘡黑陷
⦁ 諸穴論
▶ 諺解救急方 附錄
⦁ 俗方藥
⦁ 瘧疾藥
⦁ 常食相忌
⦁ 紅藥方文
< 간략해제 >
본서는 허준이 지은 구급방으로 저본은 한독의약박물관 소장본이다. 저본의 언해 시기는 허준보다 한참 아래의 시기인 것으로 판단되며, 권하의「諸穴論」아래「俗方藥」,「瘧疾藥」,「常食相忌」,「紅藥方文」 등도 허준이 쓴 『언해구급방』의 내용이 아니고 후대에 덧붙여진 것으로 여겨진다. 본서에서는 저본을 존중하여 이 모두를 번역의 대상으로 삼았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