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諺解痘瘡集要卷上
⦁ 痘瘡源委
⦁ 痘癍疹形色
⦁ 解毒免痘方
⦁ 預防痘瘡禁方
⦁ 發熱三日
⦁ 出痘三日
⦁ 起脹三日
⦁ 貫膿三日
⦁ 收靨三日
⦁ 痘瘡通治
⦁ 解痘毒
⦁ 辨吉凶證
⦁ 辨輕重順逆
⦁ 辨形色善惡
⦁ 辨虛實證
⦁ 痘瘡諸證
∘聲音
∘咽喉痛
∘腰腹痛
∘驚搐
∘嘔吐
∘泄瀉
▶ 諺解痘瘡集要 卷下
∘ 痰喘
∘ 煩渴
∘ 腹脹
∘ 自汗
∘ 痒痛
∘ 斑爛
∘ 寒戰
∘ 咬牙
∘ 失血
∘ 溺澁
∘ 便秘
∘ 倒靨
∘ 黑陷
∘ 護眼
∘ 滅瘢
∘ 保護
∘ 飮食
∘ 禁忌
∘ 浴法
∘ 禳法
∘ 痘後雜病
∘ 痘後瞖膜
∘ 痘後癰癤
∘ 痘後下痢
∘ 附孕婦痘瘡
∘ 附癍疹
⦁ 諺解痘瘡集要跋
< 간략해제 >
『언해두창집요』는『언해구급방』『언해태산집요』와 함께 조선중기 의 대표적 언해의학서로서 조선 선조 41년(1608)에 어의 허준이 임금의 명을 받아 마마의 원인과 치료법에 관한 자료를 수집 ․ 편찬하고 여기에 원문을 한글로 풀이하여 내의원에서 간행한 의서이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