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晋寓神方
⦁ 養性延年
⦁ 養老
⦁ 精
⦁ 氣
⦁ 神
⦁ 血
⦁ 夢
⦁ 聲音
⦁ 言語
⦁ 津液
⦁ 痰飮
⦁ 五臟
⦁ 六腑
⦁ 胞
⦁ 蟲
⦁ 小便
⦁ 大便
⦁ 頭
⦁ 面
⦁ 眼
⦁ 耳
⦁ 鼻
⦁ 口舌
⦁ 牙齒
⦁ 咽喉
⦁ 頸項
⦁ 背
⦁ 心胸
⦁ 乳
⦁ 腹
⦁ 腰
⦁ 脇
⦁ 皮
⦁ 肉
⦁ 脉
⦁ 筋
⦁ 骨
⦁ 手
⦁ 足
⦁ 毛髮
⦁ 前陰
⦁ 後陰
⦁ 運氣
⦁ 吐
⦁ 汗
⦁ 下
⦁ 風
⦁ 痓病
⦁ 寒
⦁ 暑
⦁ 濕
⦁ 燥
⦁ 火
⦁ 內傷
⦁ 虛勞
⦁ 霍亂
⦁ 嘔吐
⦁ 咳嗽
⦁ 喘
⦁ 積聚
⦁ 水腫
⦁ 脹滿
⦁ 消渴
⦁ 黃疸
⦁ 痎瘧
⦁ 瘟疫
⦁ 邪崇
⦁ 癰疽
⦁ 大風瘡
⦁ 天疱瘡
⦁ 瘰癧
⦁ 結核
⦁ 癭瘤
⦁ 疳瘻
⦁ 疥癬
⦁ 癩頭瘡
⦁ 人面瘡
⦁ 膁瘡
⦁ 浸淫瘡
⦁ 凍瘡
⦁ 湯火瘡
⦁ 飜花瘡
⦁ 軟癤
⦁ 諸般惡瘡
⦁ 金刃傷
⦁ 攧撲墜落
⦁ 骨折筋斷
⦁ 杖傷
⦁ 觧毒
⦁ 救急
⦁ 雜方
⦁ 婦人
⦁ 小兒
⦁ 麻疹
⦁ 附錄
<간략해제>
허초객 ․ 초삼 형제 명의가 남긴 진양신방(晉陽神方)보다 진우신방(晉寓神方)은 내용이 더 포괄적이고 분량도 많아 진양신방의 이종사본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특히 구급(救急) 질환의 처방을 찾아보기 용이하게 되어 있으며, 마지막에 마진(麻疹)이 첨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책의 번역 및 연구는 산청군에 거주하는 권두현씨의 가전비본(家傳秘本)을 정문(正文)으로 삼았으며, 한의고전명저총서B(http://jisik.kiom.re.kr/)를 참고하였다.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