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센스
한의학 고전 DB
- CC(BY-NC-ND)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 ‘한의학고전DB’는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인용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인용은 질적, 양적으로 저작물의 일부분에 한정합니다.
- 비영리적인 경우라 하더라도 이러한 목적과 방법을 넘어서서 ‘한의학고전DB’의 콘텐츠를 출력하여 배포하거나 온라인에 게재해서는 안되며, 수정 변형하여 2차 저작물 형태로 가공해서도 안됩니다.
- 기타 저작물 사용에 대한 문의는 E-mail(kiombook@kiom.re.kr)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API
- 저작권이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있는 경우 : 라이센스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저작권이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있지 않은 경우 : 계약조건에 따라서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FAQ
학습
- 학교에서 스터디 교재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1권을 제본해도 괜찮나요?
- 원문의 경우라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번역문을 포함한 경우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구
- 논문에 인용하려고 합니다. 번역문을 수정해도 괜찮나요?
- 출처를 표시하고, 수정하였음을 밝히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 DB의 내용에서 특정 단어를 추출하거나, 분석한 결과로 통계 수치를 만들었습니다.
- 직접적인 인용이나 배포가 아니니 문제 없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연구과제 수행 중에 한의학에 사용된 “익지인”의 용례를 DB에서 모두 뽑아 보고서를 작성하였습니다.
- 자료의 출처를 명시히고 DB를 사용한 연구 방법 부분을 자세하게 밝힌 뒤에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연구과제 수행 중에 동의보감에 수록된 처방들을 모두 뽑아 해당 과제 결과로 웹에 게시하였습니다.
- 동의보감 처방의 분량으로 보았을 때, 해당 작업은 연구과제 수행의 일부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원문만이라면 가능하겠으나 번역문과 함께 공개한 경우라면 출처를 명시한다고 하더라도 통상적인 분량을 벗어난 경우이므로 그대로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더욱이 해당 연구 결과는 이미 수행된 결과를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주관기관과 협의 없이 진행된 경우라면 연구윤리 상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DB에는 API를 통해 DB 내용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었습니다. API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 용어를 추출하여 용어사전을 만들고 싶습니다. 영리 목적으로 판매해도 괜찮나요?
- 용어를 추출하는 것은 저작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가 아니므로 용어 추출 및 표기에는 제약이 없습니다.
만약 용어의 용례를 본 DB에서 추출하는 경우, 원문에 한해서는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번역문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저작권 협의를 거쳐 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사전 내에 해당 용례가 본 DB에서 가져온 텍스트임을 분명히 밝혀야 합니다.